주식관련소식

11월 2일 특징테마

Sung Wook 2023. 11. 2. 21:30
특징테마 이 슈 요 약
테마시황 ▷美 긴축 종료 기대감 속 AMD 칩 매출 긍정 전망 등에 반도체 대표주(생산), 반도체 재료/부품, 반도체 장비, 시스템반도체, HBM(고대역폭메모리), PCB(FPCB 등) 테마 상승.

▷美 긴축 종료 기대감, 테슬라 주가 상승 등에 2차전지/전기차 등 테마 상승.

▷美 하원, 중국산 드론 정부구매 금지 법안 제출 예정 소식 등에 드론(Drone) 테마 상승. SKT, 화성국제테마파크에 허브 구축 소식 및 中 첫 에어택시 시험비행 성공 소식 등에 UAM( 도심항공모빌리티) 테마 상승.

▷아이폰15 디스플레이 출하량 호조 전망 속 디스플레이 업계 4분기 최대 실적 전망 등에 아이폰/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테마 상승.

▷자동화설비 침투율 상승에 따른 산업용로봇 시장 성장 가속화 전망 등에 로봇(산업용/협동로봇등) 테마 상승.

▷자동차 10월 글로벌 생산/판매 강한 회복 기록 등에 자동차 대표주/ 자동차부품 테마 상승.

▷엔터 4사 향후 실적 추정치 상향 및 내년 호실적 기대감 지속 등에 엔터테엔먼트, 음원/음반 테마 상승.

▷美 번스타인, 비트코인 가격 2025년 중반 15만 달러까지 상승 전망 등에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테마 상승.

▷연말 쇼핑 시즌 특수 기대감 지속 등에 패션/의류, 소매유통, 백화점 테마 상승.

▷화장품 업계 제품 가격 인상 기대감 지속 등에 화장품 테마 상승.

▷한수원, 체코 신규 원전 사업 최종 입찰서 제출 모멘텀 지속 등에 원자력발전 테마 상승.

▷제약업체, 바이오시밀러(복제 바이오의약품), 비만치료제, 치매, 줄기세포, 면역항암제, 유전자/치료제 분석 등 제약/바이오 관련 테마 상승.

▷네이버웹툰, 해외 불법 사이트 150개 활동 중지 소식 속 웹툰테마 상승.

▷이 외에 MLCC, 바이오인식, 지능형로봇/인공지능, 폴더블폰, 갤럭시 부품주, 의료기기, U-Healthcare(원격진료), 미용기기, 비료, 희귀금속(희토류 등), 온실가스(탄소배출권), 카메라모듈/부품, 스마트폰, 태양광에너지, 니켈, 맥신, 초전도체, 통신장비, 양자암호, 전선, 치아 치료(임플란트 등) 의 테마가 상승률 상위를 기록하는 등 국내 증시 강세 속 대부분의 테마가 상승.

▷반면, 생명보험, 손해보험, 은행 등 금융 테마 하락.

▷아시아나항공 이사회, 화물사업 매각 결정 등에 아시아나항공(-8.68%)이 약세를 보인 가운데, 항공/저가 항공사 테마 하락.

▷23년10월 카지노 매출액 발표 후 파라다이스(-6.67%) 약세 속 카지노 테마 하락.

▷이 외에 골판지 제조, 도시가스, 편의점 등 일부 테마만이 하락.
반도체/ HBM(고대역폭메모리)/ PCB(FPCB 등) 美 긴축 종료 기대감 속 AMD 칩 매출 긍정 전망 등에 상승
▷지난밤 뉴욕주식시장이 FOMC 기준금리 동결 속 긴축 종료 기대감 등에 상승세를 보인 가운데,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급등 마감.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75.06(+2.33%) 상승한 3,290.95를 기록. 인텔(+2.16%), AMD(+9.69%), 마이크론테크놀로지(+3.78%), 엔비디아(+3.79%) 등이 상승.

▷특히, AMD는 지난 31일(현지시간) 뉴욕증시 장마감 후 3분기 58억 달러(7조8,474억원)의 매출과 0.70달러(947원)의 주당 순이익을 기록했다고 발표. 매출과 주당 순이익 모두 시장 예상치를 상회했음. 또한, 리사 수 AMD 최고경영자(CEO)는 "4분기에 AI 칩인 그래픽처리장치(GPU) 매출을 약 4억 달러 기대하고 있고, 내년에는 20억 달러를 돌파할 것"이라고 밝힘.

▷이 같은 소식 속 삼성전자, SK하이닉스, DB하이텍, 에프에스티, 프로텍, 인텍플러스, 하나마이크론, 한미반도체, 이수페타시스, 대덕전자 등 반도체/HBM(고대역폭메모리)/PCB(FPCB 등) 테마가 상승.
2차전지/전기차 등 美 긴축 종료 기대감, 테슬라 주가 상승 등에 상승
▷지난밤 뉴욕증시는 연방준비제도(Fed)가 시장 예상대로 기준금리를 2회 연속 동결함에 따라 긴축 종료 기대감이 커지면서 3대 지수 모두 상승한가운데, 테슬라(+2.40%)가 상승세를 보였음. 테슬라는 최근 전기차 수요가 둔화할 것이란 우려로 연일 하락해 지난달 30일 200달러가 붕괴되기도 했음.

▷美 긴축 종료 기대감 속 저가 매수세가 유입된 점이 긍정적으로 작용. 지난밤 Fed는 시장 예상대로 기준금리인 연방기금금리의 목표 범위를 5.25~5.50%로 동결했음. 파월 의장은 정례회의 후 기자회견을 통해 “장기국채금리 상승이 통화 정책에 영향을 미친다”고 밝혀 기준금리 동결 배경을 간접적으로 인정했음. 이에 시장에서는 파월 연준 의장의 발언 수위가 당초 기대했던 ‘매파적인 유지(hawkish hold)’보다도 비둘기적인 것으로 평가하고 있음.

▷이 같은 소식 속 이수스페셜티케미컬, 디아이티, 펨트론, 자비스, SKC, 에코프로비엠, 에코프로, 엘앤에프,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이노베이션 등 2차전지/전기차/리튬/폐배터리/전기차(충전소/충전기) 테마가 상승.
드론(Drone) 美 하원, 중국산 드론 정부구매 금지 법안 제출 예정 소식 등에 상승
▷외신에 따르면, 미국 하원 중국위원회는 중국산 드론의 미국 정부구매를 금지하는 법안을 제출할 예정. 이 법안은 마이크 갤러거 공화당 의원과 라자 크리슈나무치 민주당 의원이 초당적으로 주도해 ‘미국 안보 드론법’으로 제출될 계획임. 이 법안에는 특정 회사 이름을 적지 않았지만 세계 최대 드론 기업인 중국의 DJI를 겨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선전에 본사를 둔 DJI는 세계시장점유율 58%를 차지하며, 미국에서도 7.8%의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음.

▷예멘의 후티 반군이 1일(현지시간) 이스라엘을 향해 또다시 탄도 미사일과 드론 공격을 가했다고 주장했음. 후티 반군 대변인 야히야 사리는 성명을 통해 "예멘 군대는 지난 몇 시간 동안 점령 당한 팔레스타인 내여러 목표물을 향해 대량의 드론을 발사했으며 목표를 달성했다"고 밝힘. 이들은 지난달 7일 이스라엘과 하마스 분쟁 발발 이후 이스라엘을향해 3차례 드론과 미사일 공격을 감행한 바 있음.

▷이 같은 소식 속 네온테크, 스마트레이더시스템, 제이씨현시스템, 한컴위드, 베셀, 기산텔레콤 등 드론(Drone) 테마가 상승.
아이폰/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아이폰15 디스플레이 출하량 호조 전망 속 디스플레이 업계 4분기 최대 실적 전망 등에 상승
▷KB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아이폰15 디스플레이 출하량이 호조를 보일 것이라고 밝힘. 이와 관련, 시장조사 기관인 DSCC에 따르면, 최근 4개월간 아이폰15 디스플레이패널 출하량은 전작(아이폰14) 대비 +24% 증가하고, 최상위 모델인 아이폰15 프로와 프로맥스 출하 비중은 전체의 61%를 차지한 것으로 전해졌다며, 이는 애플이 9월 중국 판매 부진에도 불구하고 4분기 연말 성수기 판매 호조를 전망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고 밝힘.

▷또한, 4분기 아이폰15 프로와 프로맥스 출하량은 전분기대비 +3.5배 증가한 4,200만대(LG디스플레이 70%, 삼성디스플레이 30%)로 추정되어 물량 기준으로는 3분기 대비 3,000만대 증가될 것으로 추정. 특히, 10월부터 부품 공급 차질이 해소되고 프로 중심의 수요 쏠림 현상이 가속화되고 있어, 애플은 고가 모델인 프로 시리즈 중심의 4분기 생산 계획을 유지하고 있다고 밝힘.

▷이에 삼성디스플레이, LG디스플레이는 아이폰15 디스플레이 출하 증가로 4분기 최대 실적 달성이 전망된다며, 9월 아이폰15 출시 후 부품 공급 차질 등을 고려하면 현 시점에서 아이폰15 판매 우려 예단은 시기 상조로 판단된다고 밝힘.

▷이에 금일 LG디스플레이, 프로텍, 비에이치, 아이티엠반도체, LG이노텍, 주성엔지니어링 등 아이폰/OLEED(유기 발광 다이오드) 테마가 상승.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자동화설비 침투율 상승에 따른 산업용로봇 시장 성장 가속화 전망 등에 상승
▷이베스트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글로벌 Capex의 양적증가 뿐만 아니라 인건비 상승에 대응하기 위한 자동화설비 침투율 상승은 산업용로봇 시장 성장을 가속화할 것이라고 밝힘. 국내 주식시장에서는 2023년 1월 삼성전자의 레인보우로보틱스 지분투자가 트리거가 되어 국내 로봇 관련 상장사의 시가총액은 2022년 12월말 3.8조원에서 2023년 10월말 9.0조원(10월 상장한 두산로보틱스 시가총액 2.6조원 포함)으로 133% 증가했다고 밝힘. 이에 따라 로봇 밸류체인 내에서 성장 가시성이 높고 국내 상장사가 경쟁력이 있는 분야에 대한 추가적인 스터디가 필요하다고 언 급.

▷아울러 로봇 산업의 성장 방향성이 명확하기 때문에, 기술력과 인재 확보를 위한 M&A 기대감 등이 로봇 관련 기업들의 주가 상승 모멘텀이 되는상황이라고 언급. 다만, 로봇 산업의 고성장이 관련 기업들의 실적으로 확인되기 까지는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어, 기술력과 성장속도, 본업 실적, 밸류에이션 측면에서 선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밝힘.

▷이 같은 분석에 두산로보틱스, 제우스, 휴림로봇, 알에스오토메이션, 레인보우로보틱스 등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테마가 상승.
자동차 대표주/ 자동차부품 자동차 10월 글로벌 생산/판매 강한 회복 기록 등에 상승
▷삼성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현대차/기아의 10월 글로벌 도매 판매는 각각 +9.6%YoY, +7.7%YoY 기록했다고 밝힘. 기아 판매가 현대차 대비 약한 것은 노사협상 지연으로 한국공장 특근부재 영향으로 분석. 미국 리테일은 현대차 66,529대(+2.4%YoY), 기아 59,164대(+1.5%YoY)이며, 아이오닉5/6은 도합 4,218대, 제네시스는 5,724대(+31.5%YoY) 판매로 호조를 보였다고 밝힘.

▷아울러 고금리 영향 누적으로 자동차 수요에 대한 불안감이 증폭됐지만, 4분기 현대차/기아의 연중 최대 생산 및 최대 판매로 우려 불식이 예상된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에 현대차, 기아, 현대모비스, 우신시스템,알멕, 화신, 구영테크, 한주라이트메탈 등 자동차 대표주/자동차부품 테마가 상승.

 

 

'주식관련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월 6일 특징테마  (2) 2023.11.06
11월 3일 특징테마  (1) 2023.11.03
11월 1일 특징테마  (1) 2023.11.01
10월 31일 특징테마  (3) 2023.10.31
10월 30일 특징테마  (1) 2023.10.30